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7호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로, 1995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1차분은 1996년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2차분은 1999년부터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었다. 3차분은 2010년부터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었으며, 4차분은 2020년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어 석남 연장선 개통과 함께 투입되었다. 5차분은 2021년부터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어 1차분 전동차를 교체하고 있다. 현재 72개 편성이 운행 중이며, 향후 고읍, 청라국제도시 연장 운행을 위한 차량 도입과 6000호대 대체 차량 도입이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지하철 7호선 - 청담대교
청담대교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과 광진구 능동을 잇는 한강의 다리로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동부간선도로가 복층 구조로 통과하는 병행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 교통난 해소에 기여하고 뚝섬 한강공원과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차량사업소
도봉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기지로, 일부 6000호대, 7000호대 전동차와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 및 입출고 검수를 담당하며, 폐차된 6, 7호선 전동차 관리, 복잡한 배선 시스템 운영, 그리고 경기도 의정부시의 이전 요청과 관련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차량 이름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
차체 색상 | '#54640d' |
운행 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
기술 사양 | |
전기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
제어 방식 | 1차분: VVVF-GTO GEC-(Alstom) 1C4M 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 제어 4차분: VVVF-IGBT(다원시스) 1C4M 제어 5차분: VVVF-IGBT PMSM(도시바) |
영업 최고 속도 | ATC/ATO 구간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기동 가속도 | 3.0 km/h/s |
감속도 | 3.5 km/h/s (상용), 4.5 km/h/s (비상)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전동기 출력 | 210 kW |
편성 출력 | 4200 kW |
궤간 | 1,435 mm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보안 장치 | ATC/ATO [수동운전.자동운전] |
차량 규격 | |
용도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전체 길이 | 19,500 mm |
전체 폭 | 3,120 mm |
전체 높이 | 3,600 mm |
차량 무게 | 33.7t(선두차), 35,4t(M1) 35,8t(M2), 29,3t(T) |
편성 무게 | 268.4t |
차량 정원 | 148명 (선두차), 160명 (중간차) |
편성 정원 | 1,256명 |
편성 정보 | |
차량 수 | 8량 |
생산량 | 68개 편성 544량 |
사용량 | 55개 편성 440량 |
제작 정보 | |
제작사 |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한국철도차량, 로윈, 다원시스, 우진산전 |
제작 연도 | 1995년 12월~1996년 6월: 701~717 1999년: 718~752(1~3번 칸), 763 2000년: 753~762 2020년 1월~4월: 771~772 2021년 8월~2022년 9월: 701~717 |
2. 도입 역사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는 1995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여, 2023년 12월 1일 기준으로 총 72개 편성, 576량이 운행 중이다. 7000호대 전동차는 여러 차례에 걸쳐 도입되었으며, 각 도입 시기별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1차 도입분 (1995년~1996년): 장암역~건대입구역 개통에 따라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GEC 알스톰제 GTO-VVVF 인버터와 주전동기를 탑재했다.[10]
- 2차 도입분 (1999년~2000년): 건대입구역~온수역 개통에 따라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도시바제 IGBT-VVVF 인버터와 주전동기를 탑재했다.[1] 외관상으로는 외판 비트가 생략되고 전면 행선 표시 LED가 대형화되었다.
- 3차 도입분 (2020년): 부평구청역~석남역 개통에 따라 도입되었으며, SR000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차체 라인 컬러 배치, 출입문 창문 높이, 도어 엔진 등이 변경되었다.[3]
- 4차 도입분 (2021년~2023년): 노후화된 1차 도입분 교체를 위해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PMSM를 채용했다. 차량 디자인은 독일의 büro+staubach라는 회사가 맡았다.[5][6]
- 5차 도입분 (예정): 도봉산포천선, 청라국제도시 연장 및 6000호대 대체용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2010년에는 혼잡 완화를 위해 8000계 차량을 조합한 763편성이 추가 도입되기도 했다. 2012년 부평구청역 연장 시에는 1, 2차 도입분 전동차의 전면 행선 표시 LED 글꼴이 변경되었다.
7000호대는 4M4T의 8량 편성으로, 동시기에 제작된 8000호대와 량수 외에는 동일하다. 향후 노선 연장에 따라 차량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1. 1차 도입분 (1995년~1996년)
1996년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17개 편성이 도입되었다.[10] 대우중공업(현. 현대로템)에서 제작하였다.[10] 도입 당시 전두부 도색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일자형이었으나,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2차 도입분과 동일한 곡선형으로 변경되었다.[10] 제어 방식은 알스톰사의 VVVF-GTO 방식이다.[10]1차 및 2차 차량은 5000호대, 6000호대의 디자인을 거의 계승하고 있다. 7000호대는 4M4T의 8량 편성으로, 동시기에 제작된 8000호대와 량수 외에는 동일하다.
측면 창문은 2분할 창으로, 상부가 안으로 젖혀지는 방식이다.
2012년 부평구청역 연장 시, 전면 행선지 표시 LED의 글꼴이 선명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5차 도입분으로 교체되고 있으며, 2024년 11월 현재 705, 709편성만 남아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 중이다.
2. 2. 2차 도입분 (1999년~2000년)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에 대비해 46개 편성이 도입되었다.[11] 1999년 11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2] 제작사는 한진중공업(현. 현대로템)이다.[1]외형은 비드를 제거한 2시트 스테인레스 차체를 적용했으며, 객실 창문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고 일체형 복층 통유리를 적용했다. 추진제어 장치는 도시바 VVVF-IGBT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SVF35-A0)와 210 KW급 전동기(3H3V2195형)를 채용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서울교통공사) 최초로 CI도색을 적용했고, 도입 당시부터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마련되었다.
건대입구역~온수역 구간 개통에 따라 1999년~2000년에 걸쳐 한진중공업에서 718~762편성을 제조했다. 1차 도입분을 기본으로 일본 도시바(東芝)제 IGBT-VVVF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SVF035-A0형)와 주전동기(3H3V2195형)를 탑재했다.[1] 당시 도시바제 2레벨 IGBT 소자 VVVF 인버터 채용은 삿포로 시영 지하철 8000형(SVF034-A0형)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였다. 차량 정보 시스템도 도시바제 "TCMS"를 탑재했다.
외관상 변경점으로는 외판 비트가 생략되었고, 전면 행선 표시 LED가 대형화되었으며 창틀이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측면 창문은 1장 창문으로 변경되어 개폐가 불가능하다.
2010년에는 혼잡 완화를 위해 8000계 821편성 6량과 822편성 2량을 조합한 7000계 763편성이 추가 도입되었다.
2. 3. 3차 도입분 (2010년~2011년)
다원시스(구 로윈)에서 제작한 3차 도입분은 VVVF-IGBT(다원시스) 제어방식을 사용한다. 천왕차량사업소 소속으로 764~770편성(7편성, 56량)이 있다.[1]2. 4. 4차 도입분 (2020년)
2021년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 연장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다원시스에서 제작한 2개 편성(8량 1편성)이 도입되었으며, 제어 방식은 VVVF-IGBT(다원시스) 방식이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KEC의 IGBT 소자를 기반으로 다원시스에서 자체 개발한 인버터를 채용했다.[3] 인천교통공사 수탁 취급이기 때문에 2027년 12월 개통 예정인 청라 연장선 개통에 대비해 별도의 차량기지를 건설할 필요 없이 천왕차량기지 규모 확충만으로도 상호 간 부품 공통화 등의 효율성이 제고되었다.SR000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차체 라인 컬러 배치 변경, 승하차용 출입문 창문 높이 변경, 도어 엔진 변경, 전면 비상문 폐지, 승하차용 출입문 무늬 변경, 승하차용 출입문 차내 측 좌우에 도어 개폐등 탑재 등 각 부분에서 차이점을 보인다.[4] 손잡이는 기존의 회색에서 7호선의 라인 컬러인 올리브색으로 변경되었다.
2. 5. 5차 도입분 (2021년~2022년)
1995년 12월부터 1996년 6월까지 도입된 1차분 전동차 교체와 함께 도입된 전동차이다. 우진산전에서 제작하였으며, 총 17개 편성(8량 1편성)이 도입되었다. 제어 방식은 VVVF-IGBT(도시바 PMSM) 방식이다.[5]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5차분(401~426편성),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501~525편성),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3차분 별내선 연장분 (821~829편성),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4차분(112~124, 126~129, 132, 135~138, 140~141, 143~144편성) 차량에 채택된 일본 도시바가 개발한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 IGBT를 채용했으므로,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 큐슈여객철도 305계 전동차와 동일한 구동음이다.
차량 설계는 5000호대 4차분, 8000호대 3차분과 공통화되었다. 차량 디자인은 베를린 지하철 IK형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4차분, GTX-A용 차량 등을 디자인한 독일의 büro+staubach라는 회사가 디자인을 맡았다.[6]
출입문 상단에는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형태로 2개씩 탑재되어 있다. 또한, 차량 맨 끝 상단부에는 컬러 LED 안내 표시기도 탑재되어 있다. 좌석은 차량 맨 끝 부분은 3인석, 출입문 사이는 6인석의 플라스틱 시트로 구성되었다.
편성 번호는 1차분과의 구분을 위해 머리에 W가 붙는다. W는 우진산전을 영어로 표기했을 때의 머리글자 "W"에서 따왔다.
- '''도봉차량사업소 소속: 701~717편성(총 17편성, 136량)'''
3. 기술적 사양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는 도입 시기와 제어 방식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 1차분 (701~717편성)
1996년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1차분은 대우중공업(현.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알스톰사의 VVVF-GTO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외형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한 일자형 도색이었으나, 2000년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2차분과 동일한 곡선형으로 변경되었다. 2024년 11월 현재 705, 709편성만 남아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 중이다.[10]
- 2차분 (718~763편성)
2000년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된 2차분은 한진중공업(현.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도시바사의 VVVF-IGBT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외형은 비드를 제거한 스테인리스 차체를 적용했고, 객실 창문은 통유리를 적용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 최초로 CI 도색을 적용했으며,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마련되었다.[11][12]
- 3차분 (771~772편성)
2021년 7호선 석남 연장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3차분은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었으며, 다원시스 자체 개발 인버터(KEC의 IGBT 소자 기반)를 사용한다. 인천교통공사 수탁 취급으로 천왕차량사업소에서 관리되며, 부품 공통화 등의 효율성이 제고되었다.
- 4차분 (701~717편성)
1995년~1996년 도입된 1차분 교체를 위해 도입된 4차분은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도시바사의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 IGBT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1차분은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GEC 알스톰제 GTO-VVVF 인버터와 주전동기를 탑재하고 있지만, 기어비는 다르게 설정되었다. 측면 창문은 2분할 창으로, 상부가 안으로 젖혀지는 방식이다. 2012년 부평구청역 연장 시, 전면 행선지 표시 LED의 글꼴이 선명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2차분은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일본 도시바 제 IGBT-VVVF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와 주전동기를 탑재하고 있다.[1] 외관 변경점은 외판 비트가 생략되었으며, 전면에서는 행선지 표시 LED의 대형화와 창틀이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측면 창문은 1장 창문이 되어 개폐는 불가능하다.
3차분은 2022년 5월 20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SR000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차체 라인 컬러 배치 변경, 출입문 창문 높이 변경, 도어 엔진 변경, 전면 비상문 폐지, 출입문 무늬 변경[3], 출입문 좌우 도어 개폐등 탑재 등 여러 부분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손잡이는 회색에서 7호선 노선색인 올리브색으로 변경되었다.
4차분은 2021년 8월 11일에 W701편성이 우진산전을 출고하였으며, 2022년 4월 18일부터 2023년 10월 27일까지 모든 편성이 운행을 시작했다. 주전동기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서 채용된 전폐자냉식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PMSM)를 채용했다[5]。차량 디자인은 베를린 지하철 IK형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4차분, GTX-A용 차량 등을 디자인한 독일의 büro+staubach라는 회사가 디자인을 맡았다[6]。
3. 1. 객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 내연 기준에 따라 2004~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1]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재질로 교체되었으며, 단열재는 기존 폼 소재에서 유리솜으로, 객차 간 통로 차단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서 불연 고무 재질로 교체되었다.[1] 객실 내장판은 기존 FRP 수지에서 세라믹 도료를 덧씌운 금속 재질로 변경되었다.[1] 그 외에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으며, 1차 도입분 객실 유리창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고 도입 당시 상부 개폐식에서 통유리로 교체되었다.[1]이후 2010년에는 전 차량 안장 부분에 난연재 소재 모켓 시트가 추가 설치되었고, SMRT-MALL 사업으로 객실 내 LED 전광판이 LCD 모니터로 교체되었다.[1]
3. 2. TGIS 모니터 탑재
열차정보제어에는 TCMS를 사용하고 있으며, ATO를 사용한 1인 승무 구조로 되어 있다. 8호선 차량은 전 차량에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1]3. 3. 편성 구조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는 8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편성 번호는 차량 번호 중 백의 자리를 제외한 세 자리로 표시한다. (예: 7101호는 701편성).차량 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70XX | Tc (SIV, 축전지) |
77XX | M2 (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
76XX | M1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75XX | T (무동력객차) |
74XX | T (무동력객차) |
73XX | M2 (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
72XX | M1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71XX | Tc (SIV, 축전지) |
- VVVF: 주 제어 장치
- SIV: 정지형 인버터
- CP: 공기 압축기
- BT: 축전지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
---|---|---|---|---|---|---|---|---|---|
형식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 7700호대 | 7000호대 | |
구분 | Tc | M | M' | T | T | M | M' | Tc | |
탑재 기기 | SIV, BT | VVVF, CP | VVVF | VVVF, CP | VVVF | SIV, BT | |||
764편성~770편성은 SR000계이다. | |||||||||
분홍색 배경의 차량은 8000호대에서 편입된 차량(1999년 제작)이다. | |||||||||
회색 배경의 차량은 2023년 9월 6일 현재 폐차되었다. | |||||||||
팬터그래프는 M (7200호대, 7600호대)에 하부 교차형을 2기씩 탑재한다. |
각 차량별 상세 제원 및 도입 시기는 다음과 같다.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제작년도 | 차량 형태 |
---|---|---|---|---|---|---|---|---|---|---|
7101 | 7201 | 7301 | 7401 | 7501 | 7601 | 7701 | 7001 | 1995년 | 1차차 | |
7102 | 7202 | 7302 | 7402 | 7502 | 7602 | 7702 | 7002 | 1996년 | 1차차 | |
7103 | 7203 | 7303 | 7403 | 7503 | 7603 | 7703 | 7003 | |||
7104 | 7204 | 7304 | 7404 | 7504 | 7604 | 7704 | 7004 | |||
7105 | 7205 | 7305 | 7405 | 7505 | 7605 | 7705 | 7005 | |||
7106 | 7206 | 7306 | 7406 | 7506 | 7606 | 7706 | 7006 | |||
7107 | 7207 | 7307 | 7407 | 7507 | 7607 | 7707 | 7007 | |||
7108 | 7208 | 7308 | 7408 | 7508 | 7608 | 7708 | 7008 | |||
7109 | 7209 | 7309 | 7409 | 7509 | 7609 | 7709 | 7009 | |||
7110 | 7210 | 7310 | 7410 | 7510 | 7610 | 7710 | 7010 | |||
7111 | 7211 | 7311 | 7411 | 7511 | 7611 | 7711 | 7011 | |||
7112 | 7212 | 7312 | 7412 | 7512 | 7612 | 7712 | 7012 | |||
7113 | 7213 | 7313 | 7413 | 7513 | 7613 | 7713 | 7013 | |||
7114 | 7214 | 7314 | 7414 | 7514 | 7614 | 7714 | 7014 | |||
7115 | 7215 | 7315 | 7415 | 7515 | 7615 | 7715 | 7015 | |||
7116 | 7216 | 7316 | 7416 | 7516 | 7616 | 7716 | 7016 | |||
7117 | 7217 | 7317 | 7417 | 7517 | 7617 | 7717 | 7017 | |||
7118 | 7218 | 7318 | 7418 | 7518 | 7618 | 7718 | 7018 | 1999년 | ||
7119 | 7219 | 7319 | 7419 | 7519 | 7619 | 7719 | 7019 | 2차차 | ||
7120 | 7220 | 7320 | 7420 | 7520 | 7620 | 7720 | 7020 | |||
7121 | 7221 | 7321 | 7421 | 7521 | 7621 | 7721 | 7021 | |||
7122 | 7222 | 7322 | 7422 | 7522 | 7622 | 7722 | 7022 | |||
7123 | 7223 | 7323 | 7423 | 7523 | 7623 | 7723 | 7023 | |||
7124 | 7224 | 7324 | 7424 | 7524 | 7624 | 7724 | 7024 | |||
7125 | 7225 | 7325 | 7425 | 7525 | 7625 | 7725 | 7025 | |||
7126 | 7226 | 7326 | 7426 | 7526 | 7626 | 7726 | 7026 | |||
7127 | 7227 | 7327 | 7427 | 7527 | 7627 | 7727 | 7027 | |||
7128 | 7228 | 7328 | 7428 | 7528 | 7628 | 7728 | 7028 | |||
7129 | 7229 | 7329 | 7429 | 7529 | 7629 | 7729 | 7029 | |||
7130 | 7230 | 7330 | 7430 | 7530 | 7630 | 7730 | 7030 | |||
7131 | 7231 | 7331 | 7431 | 7531 | 7631 | 7731 | 7031 | |||
7132 | 7232 | 7332 | 7432 | 7532 | 7632 | 7732 | 7032 | |||
7133 | 7233 | 7333 | 7433 | 7533 | 7633 | 7733 | 7033 | |||
7134 | 7234 | 7334 | 7434 | 7534 | 7634 | 7734 | 7034 | |||
7135 | 7235 | 7335 | 7435 | 7535 | 7635 | 7735 | 7035 | |||
7136 | 7236 | 7336 | 7436 | 7536 | 7636 | 7736 | 7036 | |||
7137 | 7237 | 7337 | 7437 | 7537 | 7637 | 7737 | 7037 | |||
7138 | 7238 | 7338 | 7438 | 7538 | 7638 | 7738 | 7038 | |||
7139 | 7239 | 7339 | 7439 | 7539 | 7639 | 7739 | 7039 | |||
7140 | 7240 | 7340 | 7440 | 7540 | 7640 | 7740 | 7040 | |||
7141 | 7241 | 7341 | 7441 | 7541 | 7641 | 7741 | 7041 | |||
7142 | 7242 | 7342 | 7442 | 7542 | 7642 | 7742 | 7042 | |||
7143 | 7243 | 7343 | 7443 | 7543 | 7643 | 7743 | 7043 | |||
7144 | 7244 | 7344 | 7444 | 7544 | 7644 | 7744 | 7044 | |||
7145 | 7245 | 7345 | 7445 | 7545 | 7645 | 7745 | 7045 | |||
7146 | 7246 | 7346 | 7446 | 7546 | 7646 | 7746 | 7046 | |||
7147 | 7247 | 7347 | 7447 | 7547 | 7647 | 7747 | 7047 | |||
7148 | 7248 | 7348 | 7448 | 7548 | 7648 | 7748 | 7048 | |||
7149 | 7249 | 7349 | 7449 | 7549 | 7649 | 7749 | 7049 | |||
7150 | 7250 | 7350 | 7450 | 7550 | 7650 | 7750 | 7050 | |||
7151 | 7251 | 7351 | 7451 | 7551 | 7651 | 7751 | 7051 | |||
7152 | 7252 | 7352 | 7452 | 7552 | 7652 | 7752 | 7052 | |||
7153 | 7253 | 7353 | 7453 | 7553 | 7653 | 7753 | 7053 | |||
7154 | 7254 | 7354 | 7454 | 7554 | 7654 | 7754 | 7054 | |||
7155 | 7255 | 7355 | 7455 | 7555 | 7655 | 7755 | 7055 | |||
7156 | 7256 | 7356 | 7456 | 7556 | 7656 | 7756 | 7056 | |||
7157 | 7257 | 7357 | 7457 | 7557 | 7657 | 7757 | 7057 | |||
7158 | 7258 | 7358 | 7458 | 7558 | 7658 | 7758 | 7058 | |||
7159 | 7259 | 7359 | 7459 | 7559 | 7659 | 7759 | 7059 | |||
7160 | 7260 | 7360 | 7460 | 7560 | 7660 | 7760 | 7060 | |||
7161 | 7261 | 7361 | 7461 | 7561 | 7661 | 7761 | 7061 | |||
7162 | 7262 | 7362 | 7462 | 7562 | 7662 | 7762 | 7062 | |||
7163 | 7263 | 7363 | 7463 | 7563 | 7663 | 7763 | 7063 | 1999년 | ||
7171 | 7271 | 7371 | 7471 | 7571 | 7671 | 7771 | 7071 | 2020년 | 3차차 | |
7172 | 7272 | 7372 | 7472 | 7572 | 7672 | 7772 | 7072 | |||
7101 | 7201 | 7301 | 7401 | 7501 | 7601 | 7701 | 7001 | 2021년 | ||
7102 | 7202 | 7302 | 7402 | 7502 | 7602 | 7702 | 7002 | 4차차 | ||
7103 | 7203 | 7303 | 7403 | 7503 | 7603 | 7703 | 7003 | |||
7104 | 7204 | 7304 | 7404 | 7504 | 7604 | 7704 | 7004 | |||
7105 | 7205 | 7305 | 7405 | 7505 | 7605 | 7705 | 7005 | |||
7106 | 7206 | 7306 | 7406 | 7506 | 7606 | 7706 | 7006 | |||
7107 | 7207 | 7307 | 7407 | 7507 | 7607 | 7707 | 7007 | |||
7108 | 7208 | 7308 | 7408 | 7508 | 7608 | 7708 | 7008 | |||
7109 | 7209 | 7309 | 7409 | 7509 | 7609 | 7709 | 7009 | |||
7110 | 7210 | 7310 | 7410 | 7510 | 7610 | 7710 | 7010 | |||
7111 | 7211 | 7311 | 7411 | 7511 | 7611 | 7711 | 7011 | |||
7112 | 7212 | 7312 | 7412 | 7512 | 7612 | 7712 | 7012 | |||
7113 | 7213 | 7313 | 7413 | 7513 | 7613 | 7713 | 7013 | |||
7114 | 7214 | 7314 | 7414 | 7514 | 7614 | 7714 | 7014 | |||
7115 | 7215 | 7315 | 7415 | 7515 | 7615 | 7715 | 7015 | |||
7116 | 7216 | 7316 | 7416 | 7516 | 7616 | 7716 | 7016 | |||
7117 | 7217 | 7317 | 7417 | 7517 | 7617 | 7717 | 7017 |
4. 구분
구분 | 1차 도입분 (701~717편성) | 2차 도입분 (718~763편성) |
---|---|---|
전면 행선 안내 게시 | 넓이가 작음 | 넓이가 큼 |
객실 창문 모양 | 2개로 나뉨 | 일체형 통유리 |
측면 운전실 창문 줄 색깔 | 은회색 | 검은색 |
측면 노선 표현 도색 | 가운데 흰색 띠 없음 | 가운데 흰색 띠 있음 (726편성은 예외) |
불연 내장재 교체 | 도봉차량사업소에서 흥일기업 직원 파견 시행 | 현대로템 의왕공장으로 차량 운송 후 작업 시행 |
5. 배속
GEC영어 Alsthom프랑스어제 GTO-VVVF영어 인버터(32RA025B2형)와 주전동기(GEC영어 G354AZ영어형)를 탑재하고 있지만, 기어비는 14:99로 설정되었다. 701~734편성은 도봉차량기지에, 735~772편성은 천왕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다.[1][2]
6. 운행 구간
7. 특이사항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701~717편성은 GEC 알스톰제 GTO-VVVF 인버터와 주전동기를 탑재했지만, 기어비는 다르게 설정되었다. 보조 전원 장치는 도시바제이며, 측면 창문은 상부가 안으로 젖혀지는 2분할 창 방식이다. 2012년 부평구청역 연장 당시, 전면 행선 표시 LED 글꼴이 변경되었다. 1차 차량은 2023년 말까지 교체될 예정이었으나, 2024년 11월 현재 일부 편성은 러시아워 시간에만 운행되고 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한진중공업에서 제작한 718~762편성은 도시바제 IGBT-VVVF 인버터와 주전동기를 탑재했다.[1]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도시바제 2레벨 IGBT 소자 VVVF 인버터를 채용한 사례였다. 차량 정보 시스템도 도시바제 "TCMS"를 탑재했으며, 보조 전원 장치는 우진산전 제이다. 외관상으로는 비트가 생략되었고, 전면 행선 표시 LED가 대형화되었으며, 창틀이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측면 창문은 개폐가 불가능한 한 장의 창문이다.
2010년에는 8000계 차량을 조합하여 763편성이 추가되었다. 2차 차량은 VVVF 인버터 소프트웨어가 변경되기도 했으나, 원래대로 복구되었다.[2]
7. 1. 2005년 방화 사건
2005년 1월 3일 오전 7시 13분경, 가산디지털단지역을 출발하여 철산역으로 향하던 7017열차(752편성) 뒤쪽 2량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2]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승차한 48세 남성이 신문지에 인화성 액체를 뿌리고 불을 질렀으며, 불은 좌석으로 옮겨붙었다.[2] 승객들은 옆 칸으로 대피했고, 화재 경보가 울리면서 운전사와 사령실에 알려졌다.[2] 일부 승객들은 소화를 시도했다.[2]7시 16분경 사령실의 연락을 받은 광명사거리역 역무원 3명이 달려와 승객 전원을 하차시킨 후 소화 활동을 벌였다.[2] 역의 연락을 받은 사령실은 진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전동차를 종착역인 온수역까지 회송 운행하라는 지시를 내렸다.[2] 그러나 차량 후미 부분에서는 아직 불길이 계속 타올랐고, 온수역에서 소방대가 출동하여 8시 54분경에 완전히 진화되었다.[2]
이 사건으로 752편성 중 3량이 전소되었고, 10시 45분까지 7호선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2]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운전사, 역, 사령의 판단 착오, 연락 체계 미비, 불연화 대책 미완료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2] 범인은 다음 날인 1월 4일 오후 8시경 수원역에서 체포되었다.[2]
이 사건은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에도 지하철 안전 관리가 여전히 미흡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되며,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752편성의 피해를 입은 3량은 8000호대 822편성에서 3량을 가져와 대체하였다. 전소된 3량 중 Tc 차량은 천왕차량기지 열차 운행 체험·교육실로 활용되고, 2량은 도봉차량기지에 보존되었다.
7. 2. 측면 안내 표시기 작동 중단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 안내 표시기를 철거하고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부착했다. 7호선 3차 도입분부터는 도입 당시부터 측면 행선 안내 표시기가 없는 상태로 도입되었다.7. 3. 자전거 전용칸 개조
2009년 7호선 2차분 724, 727, 732~733, 735편성은 열차 양 끝 칸 맨 앞에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 7호선 3차분 764~770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된 채로 도입되었다.[3]8. 향후 계획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청라국제도시역 및 도봉산포천선 고읍역 방면 연장에 따라 신형 차량이 도입될 예정이다. 7000호대는 5000호대, 6000호대의 디자인을 거의 계승하고 있으며, 4M4T의 8량 편성으로, 동시기에 제작된 8000호대와 량수 외에는 동일하다. 2000년, 2012년, 2020년의 노선 연장 시 2차차, SR차, 3차차가 증비되었으며, 2022년에는 1차차 대체 차량을 위해 5차차가 등장했다.
8. 1. 고읍 연장
도봉산포천선 고읍역 방면 연장에 따라 장암역에서 연장용 차량으로 773편성 - 778편성이 다원시스에서 도입될 예정이다.[7] 이 차량은 경기도가 보유할 예정이다.8. 2. 청라국제도시 연장
석남역 이후 인천광역시, 청라국제도시 연장 운행용 차량으로 778편성 ~ 785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제조 회사는 다원시스이며, 차체 형상은 4차분 차량에 준하며, 전장품도 PMSM을 채용할 것으로 알려졌다.[8] 차량은 인천교통공사가 소유할 예정이다.8. 3. 6000호대 대체 차량
2017년부터 증비를 위해 7호선으로 전속된 6000호대 대체용 차량으로, 2025년 이후 786/787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제작 회사는 다원시스이다.[9] 부평구청 연장 이후, 인천광역시와 부천시의 수요 급증에 따라 증차를 계획했으나, 차량 도입에 시간이 소요되면서 6000호대를 7호선으로 전속시킨 후 증차를 해왔다.[9] 786/787편성이 도입되면 6000호대는 다시 6호선으로 반환될 예정이다. 차량은 인천광역시와 부천시가 일정 비율로 보유할 예정이다.참조
[1]
웹사이트
歴史:事業概要:鉄道システム事業:事業紹介 {{!}} 会社概要 {{!}} 東芝インフラシステムズ
https://www.global.t[...]
2024-10-19
[2]
Youtube
7호선에도 납작이 첫 운행!? 남다른 구동음을 가진 7호선 2차분이 있다!? / Seoul Metro Line 7 with a UNIQUE MOTOR SOUND!?
https://www.youtube.[...]
2022-11-08
[3]
문서
[4]
문서
[5]
웹사이트
韓国ソウル地下鉄新型車両向け主回路電気品の納入完了について ― ソウル地下鉄初の永久磁石同期電動機(PMSM) ―|東芝インフラシステムズ株式会社
https://www.global.t[...]
2022-11-08
[6]
웹사이트
Metro Seoul - Line 5 & 7
https://buero-stauba[...]
2024-04-27
[7]
웹사이트
"[오피셜] 7호선 도봉산~옥정 연장 신차 다원시스 낙찰.jpg -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
2024-11-03
[8]
웹사이트
"[Pick] 다원시스, 인천시 신규전동차 64량 제작 977억에 수주"
https://www.redaily.[...]
2024-04-27
[9]
문서
[10]
웹인용
ALSTOM Transport - Alstom Transport@Worldwide
https://web.archive.[...]
2011-12-29
[11]
뉴스
8호선 암사 구간 전동차 소음 줄이고 통유리 사용
http://newslibrary.n[...]
NAVER
1999-03-06
[12]
뉴스
휠체어.유모차 전용공간 설치 전동차 확대투입
https://news.naver.c[...]
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